Google Cloud

SSH 키를 만들어서 Git과 GCP, Local 연동하기

Y0un9Ki 2024. 4. 19. 10:26

들어가기 앞서서 요번 블로그는 강의를 듣는 와중에 막 정리한 것이라 블로그가 깨끗하지 못한점을 양해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ㅠㅠㅠ


웹 프로젝트를 함에 있어서 B.E과 F.E는 서로 IP주소에 대한 설정을 맞춰놓고 진행을 한다.

왜냐하면 F.E가 B.E에 요청을 보낼 때 url로 보내기(fetch) 때문에 이것을 맞춰놓고 진행을 해야한다.

이것을 세미프로젝트때 프론트 친구와 협업을 진행하면서 중요하다는 것을 깨달았다.!!!

 

외부 IP에 대해서 고정을 하는 작업을 진행을 해보자.

  • GCP창에서 VPC 네트워크를 선택하자
  • 그 다음 그중에서 IP주소를 선택

 

인스턴스에 이름을 잘 보고 우리가 사용하는 서버의 IP를 고정시켜주자

 

SSH 키를 부여하기 위한 코드를 서버에 작성

ssh-keygen -t rsa -b 4096 -C "your_github_email.com"

Git을 설치하기 위한 코드이다.

sudo apt-get update -y
sudo apt-get upgrade -y
sudo apt-get install git
git --version

 

git config를 이용하여 깃과 서버를 연동하기

git config --global user.email "your_id@email.com" 
git config --global user.name "yourname"

위에 과정으로 git과 서버에 연결이 끝났다.

 

이제 git에 서버에서 생성한 SSH 키를 저장하자.

우리는 git에 SSH의 public키를 등록을 할 것이다. 그렇기에 아래의 코드를 쳐서 public SSH키를 확인한다.

cat .ssh/id_rsa.pub

이것을 git의 setting에 들어가서 SSH를 선택하고 맨위에 New SSH key부분을 눌러서 추가를 해주면 된다.

이때 setting는 reposite의 setting이 아니라 git의 setting에 들어가야 한다.

 

이제 다시 GCP에 들어와서 메타데이터를 선택한다.

메타데이터는 Compute Engine의 옵션에 존재 한다. 밑으로 내리면 있음

 

그리고 우리가 git에 만든 reop를 서버에 연동을 하고 로컬에도 연동을 진행한다. git clone을 통해서 연동

  • SSH서버에 연동을 할때에는 SSH를 선택해서 주소를 복사하고 clone을 진행

  • 로컬에 진행을 할 때에는 HTTPS를 이용해서 clone을 진행

 

그러면 SSH서버와 로컬(바탕화면에 연결이 된 것을 볼 수 있다.)

 

이것으로 Git과 GCP연동 그리고 로컬까지의 연동은 끝이 났다.

테스트를 진행을 해보면 서버에서 vi편집기를 열어서 Readme파일을 바꿔서 git에다가 Push를 해보겠다.

  • vi편집기로 Readme파일을 열고

  • 테스트를 위한 글을 작성한후 저장을 한다.

  • 저장을 한후에 git에 push를 해줬다.

  • 그리고 이제 로컬에서 vs code를 열고 pull을 받아보면 vi편집기로 편집했던 것이 그대로 들어오는 것을 볼 수 있다.

 

이와 반대로 로컬에서 파일을 변경하고 SSH 서버에서 pull을 하면 이 또한 되는 것을 볼 수있다. 이 과정 또한 똑같기에 블로그에는 올리지 않으나 한번 해보시길 바란다.

 

이것으로 GCP와 git 연동 그리고 로컬의 개발환경까지의 연동까지 모두 끝이 났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