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계

T-test(T-검정)

Y0un9Ki 2024. 2. 14. 22:03
  • 우리가 T-test의 가설을 설정 할 때는 무조건 평균의 차이를 얘기 해야 한다.!!! ⇒ 엄청 중요하다.
  • t-test는 표본 집단(그룹) 간의 평균의 차이가 얼마나 나는 지를 알아보는 테스트이다.!!!
  • T-Value란? : t-value는 다른 표본 집단 간의 표본 평균의 차이를 불확실성으로 나눠준 값이다.
    • 왜 불확실성을 나누어 주냐? : 우리는 모 집단에서 임의로 표본 집단을 뽑아 표본 평균을 구하게 된다. 그 때 우리는 랜덤으로 뽑기 때문에 뽑은 표본의 평균은 항상 다르게 나온다. 그렇기에 우리는 t-value값을 구할 때 두 표본 집단의 평균을 뺀 값에 불확실성을 나누어 주는 것이다.

귀무가설과 대립가설의 설정

  • 귀무가설의과 대립가설을 설정할 떄 막무가내로 설정하는 것이 아니다.

귀무가설

  • 기존과 비교하여 변화 혹은 차이가 없음을 나타내는 가설이다.
  • 감정 방법에 따라 귀무가설의 내용이 달라진다.
  • ex) 정규분포를 잘 따른다(= 차이가 없다는 의미), 모 평균과 표본 평균은 같다.(=차이가 없다.), 두 그룹의 분산은 차이가 없다, 운동 후 집중력의 차이가 없다. …등이다.

대립가설

  • 표본을 통해 확실한 근거를 가지고 입증하고자 하는 가설

단잂표본 T-검정

  • 모평균, 모분산을 알고 있을때

독립표본 T-검정(이표본 T-Test)

  • 독립표본(이표본) T-Test독립변수는 범주형 자료, 종속변수는 연속형 자료인 경우에 활용한다.

  • 가정확인
    • 독립성
    • 정규분포를 따르는지(정규성) : 표본이 30개 이상이면 중심극한정리에 의해 정규성을 띈다고 가정하며, 표본이 30개 미만일 때만 정규성 검증을 한다.⇒ Shapiro-Wilk tests 검증을 사용 (가정 위반 시, Mann-Whitney Test 진행)
    • 분산의 동질성(=등분산성) ⇒ 일반적으로는 levene 검정을 사용 (가정 위반시 Welch Test 사용)

대응표본 T-검정

  • 기본적으로 대응표본 T-test의 독립변수는 범주형 자료, 종속변수는 연속형 자료인 경우다.
  • 대응표본은 같은 집단내에서 비교하기에 조사 대상의 개체가 같아야 하며 크기도 같아야 한다.

  • 가정확인
    • 독립성
    • 정규성 ⇒ Shapiro-Wilk tests 검증을 사용 (가정 위반 시, Wilcoxon Signed-Ranks Test 진행)

독립표본t-test와 대응표본t-test의 차이

  • 굉장히 중요!!!

'통계' 카테고리의 다른 글

회귀분석  (0) 2024.02.14
분산분석, F-value, T-value 기술통계량  (0) 2024.02.14
카이제곱분포, 교차분석  (2) 2024.02.14
통계분석 로드맵  (0) 2024.02.14
확률분포와 각종 기술통계량  (0) 2024.02.14